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매해 건조한 봄철마다 산불예방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특별히 산불조심기간을 정하여 (2 ~ 5월) 산불방지를 위해 애쓰지만 올봄에도 대규모 산불로 인해 현재 산불 위기 경보 수준 심각 단계에 놓여있습니다.

     

    현재 전국 산불 현황과 진화율을 살펴보고 산불 방지를 위해 우리들이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점검사항을 확인해 보면서 더 이상 큰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국민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전국 산불 현황 및 산불 방지 국 민행동 요령 산림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산림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 전국 산불 현황 (경북/경남)

     

    남부 지방 중심으로 발생한 대규모 산불 현황은 2025년 3월 25일 11시 현재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입니다.

     

     

    전국 산불 현황 확인하기 산림청 홈페이지
    전국 산불 현황 확인하기 산림청 홈페이지

     

    대한민국 산림청 페이스북 실시간 산불 현황 브리핑
    산림청 누리 소통망 페이스북 실시간 현황 브리핑

     

     

    실시간 산불 현황 산림청 홈페이지
    실시간 산불 현황 바로가기 (이미지 출처: 산림청 홈페이지)

     

     

    경남 산청 등 주요 산불 진화 진행 중이나 강풍 등 기상 조건 악화로 진화 작업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25일 경남도 산림처에 의하면 전일 야간 동안 지상 진화 작업을 이어온 결과 산청/하동은 88%, 경북 의성 55%, 울산 울주 98%, 경남 김해 99% 로 평균 88% 진화율로 확인되었습니다.

     

    ▶ 피해 현황

    경북/경남 산불과 관련하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산불 영향 구역은 약 1만4694ha로 피해 면적이 커졌으며 이는 축구장 2만여 개의 규모라고 보고되었습니다.
    15명의 인명 피해와 3300명 이상 이재민이 발생 임시 대피소에 대피하여 있는 상황입니다.

     

     

    경북 의성군 대형 산불 확산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경남 산청군 외공마을 주택 피해상황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좌: 경북 의성군 대형 산불 확산 / 우: 경남 산청군 외공마을 주택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산림청은 총 110대의 가용 헬기 총동원하고 민가 주변에 자연제를 살포하는 등 진화 작업을 계속해 나가고 있습니다.

     

     

     

     

     

     

     

    ◆ 산불 주요 원인

    이번 2025년 산불의 주요 원인은 대부분 입산자 실화(失火), 영농부산물 쓰레기 소각 등으로 발생하였습니다.

     

    ✔ 경북 의성군 산불: 성묘객 부주의

    ✔ 경남 산청군 산불: 농장주 부주의 (예초기 불씨)

    ✔ 울산 울주군 산불: 농막 용접 불꽃 추정

    ✔ 경남 김해시 산불: 묘지관리인 과자봉지 소각 

    ✔ 경남 함양군 산불: 야생동물 침입 방지 철재 울타리 용접 불씨

     

    2015 ~ 2024년 (10년간) 연평균 산불 발생 건수 546건 중 대부분 부주의로 인한 인재로 확인됨
    입산자 실화 171건 (31%)
    쓰레기 소각 68건 (12%)
    논, 밭두렁 소각 60건 (11%)
    담뱃불 실화 35건 (6%)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시사저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올해 3월 24일 기준 산불 발생은 총 234건으로 대부분 입산자의 실화, 영농부산물 소각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밝히며 "입산 시 화기 소지 금지, 영농부산물이나 쓰레기 소각 금지 등 산불 방지 국민 행동 요령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당부하였습니다.

     

     

     

    ◆ 산불 방지 국민 행동 강령 (산림청)

     

    산림청에서 제시하는 산불 방지 국민 행동 강령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면서 너무나 기본적이고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실천해야 하겠습니다.

     

     

    ✅ 평소 이렇게 대비합니다. (산 주변 / 집 주변)

     

     

    ✅ 산불이 발생하면 이렇게 준비합니다.

     

     

    ✅ 산불이 다가오면 이렇게 대피합니다.

     

     

    ✅ 산불 진화 후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 스마트 산림 재난 앱 '산불신고'

     

    스마트폰에서도 산불신고가 가능합니다. 산으로 봄꽃 나들이 계획하시는 분들은 미리 어플을 다운로드 받아 놓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스마트산림재난" 검색)

     

     

    ✅ 신속한 신고가 큰 산불을 막아줍니다.

    초기 대응이 가능할 수 있도록 조속한 신고는 산불 진화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아울러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신고방법 다시 한 번 숙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소중한 산림 자원 보호 및 이재민 전폭 지원 필요

    산불은 우리나라의 소중한 산림을 파괴하여 생태계에 큰 악영향을 미치며 많은 이재민을 발생시키는 등 큰 피해를 남깁니다. 그러므로 산불 예방을 위해 더욱 적극적인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산불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전 방화성 조성 등 산불 확산 방지를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합니다. 동시에 전국민적으로 산림 내 화기 사용 금지 등 산불 예방 교육과 공익 캠페인이 더욱 강화되어야 하겠습니다. 특히 절기적으로 건조해지는 봄철, 가을철 시기 집중 교육과 홍보가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 아울러 산불 발생 시 즉시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대피 요령을 숙지해서 큰 피해로 이어지기 전에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산불로 인해 인명과 재산, 정신적으로 큰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에게도 하루 빨리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될 수 있도록 긴급 생계비 및 주거 지원이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아울러 재난 기본 소득 지급 및 피해 입은 소상공인과 농업인에 대한 저금리 대출, 복귀 보조금과 정신적 안정을 위한 심리 케어 등의 전폭 지원이 필요합니다.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부와 국민이 함께 협력하여 산불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일시적으로 그치지 않아야 합니다. 산불 예방은 곧 우리의 미래를 지키는 일이기 때문에 더욱 경각심을 가지고 실천해야 하겠습니다.

     

     

     

     

    반응형